
|
|
|
|
|
|
검사방법별 시험의 절차 |
|
|
a. 수세법 및 용제법
|
|
|
(1) 건식현상제 또는 비수성 습식현상제를 적용하는 경우
|
|
|
전처리→침투처리→세척처리→건조처리→현상처리→관찰→후처리
|
|
|
(2) 습식현상제를 적용하는 경우
|
|
|
1 전처리→침투처리→세척처리→현상처리→건조처리→관찰→후처리
|
|
|
|
|
|
b. 후유화제법
|
|
|
(1) 리포필릭 유화제를 적용하는 경우
|
|
|
① 건식현상제 또는 비수성습식현상제를 적용하는 경우
|
|
|
전처리→침투처리→유화처리→세척처리→건조처리→현상처리→관찰처리→후처리
|
|
|
② 습식현상제 적용 경우
|
|
|
전처리→침투처리→유화처리→세척처리→현상처리→건조처리→관찰처리→후처리
|
|
|
|
|
|
(2) 하이드로필릭 유화제를 적용하는 경우
|
|
|
① 건식현상제 또는 비수성습식현상제를 적용하는 경우
|
|
|
전처리→침투처리→1차세척→유화처리→2차세척→건조처리→현상처리→관찰처리→후처리
|
|
|
② 습식현상제 적용 경우
|
|
|
전처리→침투처리→1차세척→유화처리→2차세척→현상처리→건조처리→관찰처리→후처리
|
|
|
|
|
|
c. 무현상법
|
|
|
현상처리를 하지 않는 검사방법으로 검사방법에 관계없이 세척처리를 수행한후 건조처리를 하고 관 찰한다.
|
|
|
|
|
|
5. 결함지시와 발생원인
|
|
|
a. 관련지시(Relevant Indication)
|
|
|
시험체에 존재하는 불연속으로부터 나타나는 지시를 말하며, 판독 및 평가의 대상이 되 는 지시가 된다.
|
|
|
관련지시의 평가는 지시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분류한다. 지시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선형으로 길게 나타나는 선형지시와 원형으
|
|
|
로 둥글게 나타나는 원형지시로 분류하며, 그중간에 해당되는 지시를 타 원형 지시로 분류하는 경우도 있다.
|
|
|
|
|
|
b. 선형지시 (Linear Indication)
|
|
|
일반적으로 지시의 길이가 폭의 3배 이상인 지시를 선형지시라 한다. 선형으로 나타나는 지시는 균 열(Crack), 수축관(Shrinkage) |
|
|
, 핫티어(Hot Tear), 콜드셧(Cold Shut) 등이 있다.
|
|
|
|
|
|
c. 원형지시 (Rounded Indication)
|
|
|
일반적으로 지시의 길이가 폭의 3 배 미만인 지시를 원형 지시라 규정하며, 원형 지시도 시험체 위에 존재하기 때문에 시험체의 강
|
|
|
도를 떨어뜨릴 위험이 있으므로 대부분의 검사규격에서 허용되는 최대 크기를 규정하고 있다. 원형으로 나타나는 지시는 대표적으
|
|
|
로 기공 및 이와 유사한 결함 등이 있다.
|
|
|
|
|
|
d. 무관련지시 (Nonrelevant Indication)
|
|
|
무관련 지시란 결함으로부터 나타나는 지시가 아니고 시험체의 형태에 의해 나타나는 지시를 말하 며, 키홈, 리베트,이음부 및 기
|
|
|
타 설계상 시험체에 존 재하도록 되어있는 불연속에 의해 나타나는 지 시이다. 따라서 무관련지시는 판독 및 평가의 대상이 되는
|
|
|
지시가 아니다.
|
|
|
|
|
|
e. 허위지시(False Indication)
|
|
|
허위지시는 불연속과는 무관하게 조작방법의 실수등에 의해 나타난 지시를 말하며, 부적절한 세척 및 침투제로 인한 오염이 허위
|
|
|
지시가 발생하는 주원인이다.
|
|
|
|
|
|

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