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|
|
|
|
|
|
1. 육안검사의 정의
|
|
|
사람의 육안으로 직접 또는 보조기구나 광학기구(Fiberscope, CCD camera)를 사용하여 시험체 표면에나타난 결함이나 손상 또
|
|
|
는 시험체 자체의 이상유무를 조사하는 비파괴검사의 가장 기본적인 검사방법으로 재료, 제품 또는 구조물(시험체)을 직접 또는
|
|
|
간접(원격)으로 관찰하여 표면결함이 존재하는지 그 유무를 알아내는 검사방법이다
|
|
|
|
|
|
2. 육안검사의 사용목적
|
|
|
제품생산에 사용될 재료, 생산제품, 구조물등의 설계, 제작, 가공사양에 맞게 생산 또는 제작, 가공되었는지를 검사할 때 사용된다.
|
|
|
상기 품목들이 사용전 또는 사용중에 검사하여 앞으로의 사용에 지장을 초래하거나,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 결함의 유무를 찾아낼
|
|
|
때 사용한다.
|
|
|
제품또는 구조물이 파괴 또는 파손되어 그 원인 분석이나 앞으로의 예방 대책을 세울 때 사용한다.
|
|
|
|
|
|
3.육안검사 방법
|
|
|
피검사체 표면에 균열, 마모, 부식, 침식 또는 물리적 손상과 같은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수행한다.
|
|
|
직접 육안검사는 검사 표면에 30도 이상의 각도로 검사표면에서 24도 눈의 접근이 가능한 경우 할 수 있다.
|
|
|
원격 육안 검사로 직접 육안검사를 대신할 수 있다. 이 때 사용되는 장비로는 망원경, 보아스코프, 파이버옵틱스, 카메라등이다.
|
|
|
이들 시스템은 직접 육안검사시 검출 할 슈 있는 동등이상의 분해능을 갖추어야 한다.
|
|
|
부품의 일반적인 기계 구조적 상태, 즉 틈새, 설정치, 물리적 변위, 파편, 용접연결부, 볼트 연결부등 건전성 여부를 결정한다.
|
|
|
레프리카(Replica)-표면 분해능이 직접 윤안검사시 얻을 수 있는 정도이상이면 표면 레프리카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.
|
|
|
|
|
|
4. 적용분야
|
|
|
육안 또는 광학기기
|
|
|
적용분야
|
|
|
좁은 파이프
|
|
|
엔진내부
|
|
|
원자로
|
|
|
|
|
|
|
|
|
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