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|
|
|
|
|
|
1. 액체침투탐상검사의 원리
|
|
|
침투탐상에 적용되는 침투제는 낮은 표면장력과 높은 모세관 현상의 특성이 있어 시험체에 적용하면 표면의 불연속등에 쉽게 침투 |
|
|
하게 된다. 이렇게 모세관현상에 의해 침투제가 침투하게 되고, 침투하지 못한 침투제를 제거한후 현상제를 적용하면 불연속부에
|
|
|
들어있는 침투제가 현상제 위로 흡착되어 가시적으로 표면개구부의 위치 및 크기를 알 수 있는 방법이다.
|
|
|
|
|
|
2. 액체침투탐상제의 종류와 특성
|
|
|
침투제 |
|
|
침투제는 형광성분의 포함 여부에 따라 형광침투제(I형, F형)와 염색침투제(II형, V형)로 구분하며, 형 광침투제는 주로 녹색이고
|
|
|
자외선등 하에서 밝은 형광을 발한다. 염색침투제는 주로 적색이고 흰색 현상제를 도포하여 백색광 하에서 관찰하면 선명한 적색
|
|
|
으로 나타난다. 또한 과잉침투제를 제거하는 방법에따라 후유화성, 수세성, 용제 제거성 침투제로 세분할 수 있는데, 후유화성 침
|
|
|
투제는 침투제에 유화제가 혼합되어 있지 않아 유화처리를 해야 물세척이 가능해지는 침투제이고, 용제제거성 침투제 는 물세척은
|
|
|
안되며 오직 용제로만 세척이 가능한 침투제며, 수세성 침투제는 침투제에 유화제가 혼 합 되어 있어 직접 물세척이 가능하도록한
|
|
|
침투제이다.
|
|
|
|
|
|
세척제 |
|
|
검사방법에 따라 물세척과 용제세척이 있는데 수세성 침투제 또는 후유화성 침투제를 사용 한 경우는 물로 세척하고, 용제제거성 |
|
|
침투제를 사용한 경우는 용제를 세척한다. 물로 세척할 때는, 시험면에 물을 분사하여 과잉침투제를 제거하고 깨끗한 천으로 물기
|
|
|
를 닦아 내어 과잉침투제를 제거하지만, 용제세척시에는 휴지나 천으로 과잉침투제를 깨끗하게 닦아내야 하는데, 이때 용제를 직
|
|
|
접 분사하면 불연속부의 침투제도 제거될 우려가 있으므로 직접 분사는 금해야 한다.
|
|
|
|
|
|
현상제 |
|
|
현상은 불연속부 내에 들어있는 침투제를 시험체면 위로 흡출시키고 침투제와의 명암도를 증가시켜 관찰을 용이하게 하는데 그 목 |
|
|
적이 있다. 현상제의 종류는 일반적으로 건식현상제, 수용성현상제, 수현탁용 습식현상제, 비수성 습식현상제등으로 분류한다. 건
|
|
|
식현상제는 형광침투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널리 적용되나 염색침투제를 사용 하는 경우에는 명암 도가 좋아지도록 시험체 표면에
|
|
|
도포하기 어려우므로 잘 사용하지 않는다. 수용성 습식현상제는 물에 건식분말을 용해하여 사용하는데 형광 및 염색 침투제에 모
|
|
|
두 사용할 수 있으나, 수세성 침투제의 경우 침투제를 세척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잘 사용하지 않는다. 수현탁용 습식현상제도
|
|
|
물에 건식분말을 용해하여 사용하는데, 형광 및 염색 침투제에 모두 사용 할 수 있으며, 과잉침투제를 제거한후 시험체를 건조하기
|
|
|
전에 수현탁용 습식현상제를 적용할 수 있으므로 현상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. 비수성 현상제는 백색분말을 용제에 현탁시킨 현
|
|
|
상제로서 습식현상제 보다 건조가 매우 빠르며,입자가 모이지 않게하는 성분이 있어 형광침투제 사용시 감도가 가장 높은 현상제
|
|
|
이다.
|
|
|
|
|
|
3. 액체침투탐상검사 방법
|
|
|
관찰방법에 따른 분류 |
|
|
① 형광침투탐상검사 형광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침투제를 사용하는 방법으로, 어두운 곳에서 자외선등 아래에서 관찰하면 결함지 |
|
|
시가 황록색등의 형광이 발광되는 지시를 관찰하는 방법으로, 감도는 염색침투탐상에 비해 대 략 100배정도 높다.
|
|
|
② 염색침투탐상검사 적색염료를 포함하고 있는 침투제를 사용하는 방법으로, 자연광 또는 백색광 하에서 관찰하면 흰색 의 현상
|
|
|
제 위에서 적색의 결함지시 모양을 관찰하는 방법이다.
|
|
|
|
|
|
세척 방법에 따른 분류 |
|
|
① 수세성 침투탐상검사
|
|
|
② 후유화성 침투탐상검사
|
|
|
③ 용제제거성 침투탐상검사
|
|
|
|
|
|
현상방법에 따른 분류 |
|
|
관찰방법 및 세척방법에 따라 분류된 침투탐상 검사방법을 현상방법에 따라 건식, 습식, 속건식, 무 현상법과 같이 4종류의 현상법
|
|
|
으로 분류 한다.
|
|
|
|
|
|
4. 검사절차
|
|
|
|
|
|
전처리 |
|
|
전처리 과정이란 시험체의 표면을 침투탐상 검사를 수행하기에 적합 하게 처리하기위한 과정으로 시험체재질 및 검사조건에 따라 |
|
|
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시험체 표면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침투제가 불연속부 속으로 침투하는것을 방해하는 이물질 등을
|
|
|
제거해야한다.
|
|
|
 |
|
|
침투처리 |
|
|
시험면에 침투제를 적용시켜서 표면에 열려있는 불연속부 속으로 침 투제가 충분하게 침투되도록하는 과정을 말하며, 침투제 적용 |
|
|
방법에 는 침지법, 분무법, 붓칠법 등이 있다. 침투제를 적용한후 과잉 침투 제를 제거하기전까지 일정한 침투시간을 두는데, 이러
|
|
|
한 침투시간은 검사규격에서 권고한 기준을 따라 적용한다.
|
|
|
 |
|
|
세척처리 |
|
|
침투시간이 경과한후 불연속내에 침투되어 있는 침투제는 제거하지 않고 시험면에 남아있는 과잉침투제를 제거하는 과정을 세척 |
|
|
처리라 한다. 세척은 주로 물 또는 용제를 사용하여 수행하는데 침투제의 종류에 따라 세척방법이 달라진다.
|
|
|
 |
|
|
현상처리 |
|
|
세척처리가 끝난후 불연속부 안에 남아있는 침투제를 시험체 표면으로 노출시켜 지시를 관찰하는 과정을 현상처리라한다. 현상제 |
|
|
의 적용은 불연속지시의 선명도 및 명암도가 높아지는 범위내에서 가능한 한 얇고 균일하게 도포해야 한다.
|
|
|
 |
|
|
관찰 |
|
|
시험체의 합부판정 을 결정하는 중요한 과정이기 때문에 관찰 시점이 매우 중요하다. 관찰시 지시모양의 크기에 변화가 없을 때에 |
|
|
는 그 이상 시간이 경과 한 후라도 무방하다. 지시가 나타 났을 때는 관련 지시인지 무관련지시 인지를 확인해야 하는데 명확하지
|
|
|
않은 경우는 재검사를 해야 한다.
|
|
|
건조처리 |
|
|
건조처리는 적용할 현상제의 종류에 따라서 건조처리 순서가 달라지며, 건식현상제를 사용하는 경우 에는 현상처리전 시험면에 남 |
|
|
아있는 세척액의 수분을 건조하는 것을 말하며, 습식현상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현상처리후 시험면에 적용된 습식현상제의 수분
|
|
|
을 건조하는 것을 말한다.
|
|
|
후처리 |
|
|
검사가 완료된 후 시험체 표면에 남아있는 시험제가 다른 공정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는 경우나 시험 체 표면에 남아있는 침투제 |
|
|
및 현상제와 같은 검사제를 제거해야 하며,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후처리 를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.후처리는 시험체 표면에 손
|
|
|
상을 주지 않으면서 검사제가 완전히 제거 될 수 있는 방법으로하며, 보통 물 또는 용제를사용한다.
|
|
|
|
|
|

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