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
1. 적외선 열화상검사 |
|
|
|
|
|
- 원리 및 목적
|
|
|
물체의 온도에 의해서 표면에서 복사되는 열에너지를 적외선 검출기를 통해 복사강도의 그림으로 표현 한 것으로 온도의 분포로
|
|
|
전환 하여 산업설비 및 기기,고압전력 설비의 열화로 인하여 고장,파손등의
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위하여 사용한다.
|
|
|
 |
|
|
|
|
|
- 적용 범위
|
|
|
비파괴검사에서는 주로 전력설비의 예방정비에 적용되며 산업,안전,보안 의료 분야
등에서 다양하게 사용 된다.
|
|
|
|
|
|
- 적용 사례
|
|
|
1. 펌프내의 임펠러 손상으로 인한 열 발생 및 펌프 효율 저하.
|
|
|
|
|
|
|
|
|
2. 모터 내의 권선 손상으로 인한 펌픔의 열발생 |
|
|
 |
|
|
|
|
|
3. 파이프 내의 슬러지 검출 |
|
|
 |
|
|
|
|
|
4. 전력 설비 점검 |
|
|
 |
|
|
|
|
|
|
|
|
2. 합금분석(PMI) |
|
|
|
|
|
- 합금성분 분석 원리
|
|
|
재료에 전자기파를 투과시키면 원자가 에너지를 흡수하여 여기상태(Excited State)로 되었다가 기저상태(Grounded State)로 되
|
|
|
돌아 올 때 원자 고유의 특성X-선을 발하는데 분석 대상물질의 고유의 특성X-선을 반도체 검출기(SI-PIN) 를 이용하여 분석한다.
|
|
|
이 방법은 미지시료의 Spectrum Pattern과 이미 알고 있는 물질의 Spectrum Pattern등을 비교하여 전자 중에 후자의 Pattern이 포
|
|
|
함되어 있으면,전자에는 후자의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고 판정하는 방법이다.
|
|
|
|
|
|
- 합금성분 검사의 특징
|
|
|
단순하게 원소에 대한 정성분석이 아니고, 화합물의 형태로 측정된다.
|
|
|
구성원소의 상태를 알 수 있다. |
|
|
시료는 소량으로도 좋으며, 시료조정이 비교적 간단하고, 측정하는 것으로 의해 손상되지 않는다.(비파괴적 분석) |
|
|
시료가 분말로 되어 있거나, 그 형상은 판 형상,괴상,선상 등의 어떤 모양이든지 측정가능하다. |
|
|
|
|
|
- 분석 가능한 금속분석
|
|
|
Ti, V, Cr, Mn, Fe, Co, Ni, Cu, Zn, Zr, Nb, Cd, Mo, Hf, Ta, Re, W, Pb, Bi |
|
|
 |
|
|
|
|
|
3. 페라이트함량 측정 |
|
|
|
|
|
- 측정방법
|
|
|
당사에서 사용하는 페라이트 측정 장비는 Feritscope FMP-30으로 소형 센서를 용접부나 클래딩에서의 페라이트 함량을 현장에
|
|
|
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읽을 수 있게 한다.
|
|
|
이 기기는 자기 유도 방식으로서 자기장의 흡수 정도에 따라 페라이트 함량을 표시한다. |
|
|
|
|
|
- 산업체에서의 적용
|
|
|
화학,석유 및 에너지 산업체에서 탱크,파이프라인,밸브,피팅 등은 종종 고온,고압 및 침해 환경에 노출된다.이러한 상태는 고온에 |
|
|
견딜 수 있는 다음과 같은 항부식 및 항산 강을 필요로 한다. |
|
|
: 일반 건축용 강재에 오스테나이트 크롬 강을 용접한 클래딩 |
|
|
: 오스테나이트 스텐 강 |
|
|
: 듀플렉스 강 |
|
|
|
|
|
일반적으로 오스테나이트 강에는 훼라이트 함량이 0.5~12%인데, 클래딩이나 용접부에서 잔존하는 페라이트함량을 측정해 보는 |
|
|
것은 기계적으로 그리고 부식상황이 장차 어떻게 진전될 것인가에 대한 중요한 통찰력을 갖게 해준다. |
|
|
페라이트가 너무 적게 남아 있으면 핫크랙을 유발할 우려가 있고 너무 많이 존재 할 때는 echanical Strength와 항부식성을 약화
|
|
|
시키게 된다.
|
|
|
특히 용접작업 후에는 페라이트 함량이 변하기 때문에 이를 검사하는 것은 매우 중요 하다. 듀플렉스강에서는 페라이트의 함
|
|
|
량이 25∼75%인데, 용접시 페라이트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나중에 스트레스에 의한 크랙이 생길 가능성이 많아진다.
|
|
|
 |
|
|
|
|